본문 바로가기
뉴스,지식창고/잡지식,추천정보

파킹통장 추천 - 금리비교(2023.4.28)-시중은행,저축은행,증권사

by BumPD 2023. 4. 29.
반응형

2023년 4월 28일 기준 파킹통장 금리 현황 입니다.

시중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파킹통장 추천 상품 금리 입니다.

예/적금 제외, 자유입출금(수시입출금)통장 기준입니다.(2023.4.28 기준)

[2023-04-28 업데이트]

- 기준금리 동결로 인해 시중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금리가 변동되었습니다.

- 각 금융사(시중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상품별 최고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우대조건 충족 포함) 금리 입니다.

구분 시중은행
(인터넷은행)
최고금리
(연,세전)
저축은행 최고금리
(연,세전)
증권사 최고금리
(연,세전)
1 KDB산업은행 2.30% SBI저축은행(사이다뱅크) 2.80% 미래에셋증권 3.55%
2 카카오뱅크 2.40% OK저축은행 2.50% KB증권 3.40%
3 K뱅크 2.60% 웰컴저축은행 3.20% NH투자증권 2.95%
4 토스뱅크 2.00% 푸른저축은행 3.00% 한국투자증권 3.60%
5     하나저축은행 3.20% 우리종합금융 3.05%
비고 시중은행/저축은행 예금자보호(5천만원) 증권사 CMA 예금자보호 X
우리종금 예금자보호(5천만원)

(2023-04-28 기준 파킹통장 금리)이미지 클릭 시 확대 보기 가능

시중은행 기준 국책은행인 KDB산업은행 KDB Hi (비대면) 입출금통장이 한도금액 제한 없이 2.30%(변동전-2.65%)로 높은 금리를 적용하고 있으며, 인터넷전문은행 3사(K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의 경우 큰 변동 없이 카카오뱅크가 세이프박스 금리를 2.40%(변동전-2.60%) K뱅크가 2.60%(변동전-2.70%)로 금리를 유지하였고, 토스뱅크의 경우 5천만원 한도까지 2.00%(변동전-2.20%) 금리로 가장 낮은 금리를 보여주고 있으나, 5천만원 초과 예금에 대해 3.30%(변동전-3.80%)라는 파격적인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축은행 금리는 1.70%~3.20% 수준으로 2023년 초 대비 기준금리 안정으로 인해 제공 금리가 하락하였습니다.(0.5~1.0%p)

 

증권사 CMA통장이 파킹통장으로의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CMA의 경우 매일 이자가 쌓이는 것을 확인 할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비교적 낮은 금리에도 파킹통장 비교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단, 증권사 CMA의 경우 시중은행(인터넷전문은행, 저축은행)과 달리 예금자보호(5천만원)가 되지 않는것이 특징(원금비보장형 상품)이며 상품에 따라 운영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MA 통장의 경우 은행권과 다르게 2023년 들어 제공 금리를 크게 조정하고 있지는 않고 있었으나, 최근 금리를 다소 변동하여 공시하고 있는 상황 입니다.

RP계좌의 경우  2% 중반에서 3% 중반 수준, 발행어음 계좌 경우 3% 중반 수준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CMA RP 최고금리: 네이버통장(미래에셋), 발행어음(CMA) 최고 금리 : 한국투자증권 CMA형 발행어음형)

 

발행어음은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초대형 종합금융투자회사 4곳(한국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에서만 개설이 가능하며 자체 신용을 바탕으로 발행하는 만기 1년 이내의 어음으로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지만, 해당 증권사가 파산하지 않는 이상은 안전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발행어음형CMA 금리(개인, 약정수익률, 연, 세전)

한국투자증권
2023.04.26 기준
NH투자증권
2023.04.19 기준
KB증권
2023.04.20기준
미래에셋증권
2023.04.17 기준
CMA/수시 3.60% CMA발행어음 2.95% CMA/수시 3.40% CMA 1~31일 3.55%
7~30일 3.60% 발행어음(수시) - 30일 3.40% 수시형 1~365일 3.55%
31~61일 3.60% 2~90일 3.45% 90일 3.50% 만기형 31~60일 3.55%
61~90일 3.60% 91~180일 3.50% 180일 3.70%   61~90일 3.55%
91~180일 3.60% 181~270일 3.70% 270일 3.85%   91~180일 3.60%
181~270일 3.80% 271~364일 3.80% 360일 3.95%   181~270일 3.65%
271~364일 3.95% 365일 3.90% 적립식 5.00%   271~364일 3.80%
365일 4.10% 적립형 5.00%       365일 3.85%
적립식 5.00%              

발행어음은 자산가격 변동, 신용등급 하락 등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0~100%)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신용등급 변동사항은 한국기업평가(www.rating.co.kr), 한국신용평가(www.kisrating.com)등을 통해 확인 가능.

▼ 증권사별 발행어음 중도상환수익률(하단 더보기 Click!) ▼

더보기

발행어음 중도상환수익률(저축기간 만기 도래 전 인출 시 지급수익율)

한국투자증권 발행어음 중도상환수익률
1~90일 매수시점 고시수익률*20% (단,최저수익률 연 0.20%)
91~180일 매수시점 고시수익률*30%
(단,최저수익률 연 0.20%)
181~270일 매수시점 고시수익률*50%
(단,최저수익률 연 0.20%)
271~364일 매수시점 고시수익률*70%
(단,최저수익률 연 0.20%)
- 저축기간 만기 시 예스금으로 자동 상환 처리
- 적립식의 경우 약정회차(8회) 이상의 월 적립금액을 입금하지 않고 만기처리되는 경우 약정수익률의 70% 지급

NH투자증권 발행어음 중도인출 수익률
CMA발행어음 3.70%
2~365일 약정수익률의 50%
적립형 1.00%
KB증권 발행어음 중도상환이율
- 수시식은 약정수익률과 중도상환이율 동일
- 약정식은 중도상환 시 약정수익률의 50% 지급(소수점 셋쩨자리에서 올림)
- 적립식은 중도상환시 수수료 부과
미래에셋증권 발행어음 중도상환수익률
- 1~90일 약정 수익률의 30%, 91~364일 약정 수익률의 50% 지급
(단, 발행어음형CMA와 수시형은 중도상환 패널티 없음)

 

대표적인 제1금융권(시중은행, 인터넷전문은행), 저축은행, 증권사(종금사) 추천 파킹통장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 한국은행 기준 금리 ▶ https://bumpd.tistory.com/2069

 

한국은행 기준 금리(2023년 4월 11일)

■ 한국은행 기준금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로서 간단히 ‘기준금리’(base rate

bumpd.tistory.com

 

반응형

댓글